과학
-
홍수가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과학 2019. 11. 9. 13:37
물이 갑자기 불어나고 특정 지역이 물에 잠기면 홍수가 일어나는데 평균 유량의 몇 배 이상이 되는 수량 때문에 홍수가 발생하여 주변을 초토화시킵니다. 홍수는 주로 아시아에서 자주 일어나는 자연 현상으로 매년 몬순 계절풍이 불 때마다 어김없이 일어납니다. 이유로는 히말라야 산맥 위로 건조 기류가 모이면서 강한 저기압 지대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로, 바다의 습한 공기가 이 저기압 지대로 몰려들고 급격한 온도 차이 때문에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해 비를 뿌립니다. 그래서 매일 1,000밀리미터 이상의 장맛비가 평야를 적시며 쏟아지는 것입니다. 물의 양이 늘어나는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봄이 되면서 산악 지대에 쌓인 눈이 녹거나 극지방의 빙하가 녹으면서 수량이 늘어납니다. 가장 흔한 경우에는 빗물이 쌓..
-
바닷물이 짠 이유는?(2)과학 2019. 10. 31. 22:51
바닷물 속에는 금, 우라늄, 칼슘, 칼륨, 마그네슘을 포함하여 80종에 가까운 광물 성분이 녹아 있다. 그러나 소금을 포함한 몇 가지를 빼고는 녹아 있는 양이 워낙 적어 추출하기가 쉽지 않다. 20세기 전반에 독일은 바닷물 100만 톤에 4그램가량 녹아 있는 금을 추출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참고로 바다 전체에는 금이 529만 톤 정도 녹아 있다고 한다. 동해 바닷물 1톤에는 약 0.17그램가량의 리튬이 함유되어 있다. 여기서 바닷물에 녹아 있는 리튬의 양을 알기 쉽게 설명하면, 물 6톤, 즉 가로 세로가 각각 1미터에 높이가 6미터인 물기둥에 리튬은 가로 세로 각각 1센티미터에 높이가 1센티미터 정도인 물의 무게만큼 있다는 뜻이니 그 양이 얼마나 적은지를 가늠할 수 있다. 그러나 바닷물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