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닷물이 짠 이유는?(2)
    과학 2019. 10. 31. 22:51

    바닷물 속에는 금, 우라늄, 칼슘, 칼륨, 마그네슘을 포함하여 80종에 가까운 광물 성분이 녹아 있다. 그러나 소금을 포함한 몇 가지를 빼고는 녹아 있는 양이 워낙 적어 추출하기가 쉽지 않다. 20세기 전반에 독일은 바닷물 100만 톤에 4그램가량 녹아 있는 금을 추출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참고로 바다 전체에는 금이 529만 톤 정도 녹아 있다고 한다.

     

    동해 바닷물 1톤에는 약 0.17그램가량의 리튬이 함유되어 있다. 여기서 바닷물에 녹아 있는 리튬의 양을 알기 쉽게 설명하면, 6, 즉 가로 세로가 각각 1미터에 높이가 6미터인 물기둥에 리튬은 가로 세로 각각 1센티미터에 높이가 1센티미터 정도인 물의 무게만큼 있다는 뜻이니 그 양이 얼마나 적은지를 가늠할 수 있다. 그러나 바닷물이 워낙 많기 때문에 바다에는 리튬이 모두 2380억 톤 녹아 있다고 한다


    이제 바닷물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먼저 리튬을 잘 흡착할 수 있는 장치를 바닷물에 열흘 정도 담가두어 리튬을 흡착한 다음, 흡착된 리튬을 분리하고 정제해서 순도를 높인다. 이때 바닷물을 증발시키면 그 속에 있는 광물을 쉽게 얻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소금을 제외한 나머지가 워낙 조금 녹아 있어 모으기 힘들다. 바닷물을 단순히 짠물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유용한 자원을 제공하여 삶을 더 풍요롭게 해줄 수 있는 광산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수가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0) 2019.11.09
    바닷물이 짠 이유는?(1)  (0) 2019.10.31

    댓글

Designed by Tistory.